OFC 네이션스컵

덤프버전 : (♥ 0)



OFC 네이션스컵
파일:OFCcup.png
파일:attachment/OFC_Nations_Cup.png
정식 명칭OFC 네이션스컵
영문 명칭OFC Nations Cup
창설 연도1973년 (OFC 네이션스컵)
참가 자격OFC에 등록된 축구협회 대표팀 중 개최국팀
자동 출전국 6개팀
예선을 통과한 1개팀
최근 우승팀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2016)
최다 우승팀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5회)
웹사이트홈페이지

1. 개요
2. 상세
3. 역대 우승팀
4. 역대 대회별 참가선수 명단
5. 우승 횟수
6. 통산 랭킹




1. 개요[편집]


OFC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가입국 간의 축구 대회이다.


2. 상세[편집]


오세아니아호주뉴질랜드를 빼면 하나같이 다들 작고 덜 알려진 섬나라들이고, 또한 인구 수나 기타 여러 모습들로 보나 축구가 발전하지 못하여 영향력과 발언권도 가장 약하고, 그러니 지구상 6대륙 가운데 가장 동네북급 실력을 가진 곳이라 다른 5대륙 연맹 대회에 견주면 알려지지도 못하고 위상도 가장 낮은 대회이다. 더군다나 오세아니아는 원래 럭비가 최고 인기 종목인 반면 축구는 비인기 종목인 동네라서... 게다가 선수들도 프로가 아닌 아마추어들이 많고... 그나마도 오세아니아에서 가장 최강급 실력을 가진 호주가 2006년에 AFC로 가면서 그 다음으로 그나마 이 대륙 기준 나름 강호인 뉴질랜드의 우승 독점이 우려되며 더욱 이 대회 이미지도 타격을 받았다.

하지만 2012년 대회에선 타히티가 처음으로 우승하면서 뉴질랜드가 우승을 독점한다는 인식(?)을 깼다. 그렇지만 사실 2012년 대회는 2차 조별예선만 통과를 하면 월드컵 오세아니아 최종예선에 진출할 수 있었기 때문에 2012년 대회 때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의 선수 구성은 고교 선수로 꾸려졌었고, OFC 네이션스컵 조별예선은 무난히 통과했지만 4강에서 뉴칼레도니아한테 일격을 맞은 것이다.[1]

2016년 대회에서는 뉴질랜드가 파푸아뉴기니를 0-0으로 연장까지 결판이 나지 않아 승부차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우승을 차지하면서 최다 우승국이 되었다.

그래도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이 있기에 도무지 월드컵 본선 진출국이 과연 나올까 하는 의문이 드는 아시아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보단 내세울 만한 대회이긴 하다.

이 대회에서 우승한 국가는 다음 월드컵 개최 1년 전에 실시하는 대륙별 대항전인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오세아니아 대표로 출전했었다. 2013년 타히티 참가 당시 스페인, 나이지리아, 우루과이와 한 조에 묶이며 그야말로 끔살 당했으나, 그들의 분투는 전세계 만인의 축빠들에게 리스펙을 받기 충분했다. 타히티의 참가를 제외하면 컨페드컵 오세아니아 대표는 항상 호주 아니면 뉴질랜드였고, 이 두 나라는 OFC의 양대산맥으로서 컨페드컵에서 나름 선전했다. 특히 호주는 1997년 대회 준우승, 2001년 대회 4강이라는 의미있는 성적을 거두기도 했다.[2]

참고로 개최국이 없는 대회 중 1996년 대회는 호주와 뉴질랜드가 자동 진출했고, 타히티는 폴리네시아 컵[3]을 우승해서 진출하였고, 솔로몬 제도는 멜라네시아 컵을 우승하여 본선에 진출하면서 번갈아 대회 경기를 개최했으며, 2008년 대회는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예선과 합쳐지면서 개최국이 없었다.

2020 OFC 네이션스컵이 2020년 6월 6일부터 20일까지 뉴질랜드에서 열릴 예정이었지만,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한 뉴질랜드의 강도 높은 국가 봉쇄 정책의 영향으로 대회가 아예 취소되어버렸다! 문제는 오세아니아 지역은 컵 대회와 월드컵 오세아니아 지역예선이 통합된 채로 진행되어왔기 때문에 네이션스컵을 열지 않기로 할 경우 지역예선만이라도 다시 열어야 한다는 것이다. 코로나 때문에 대회를 취소했는데 코로나에도 불구하고 다시 대회를 열어야 하는 난감한 상황. 결국 미루고 미뤘는데도 도저히 오세아니아에서 지역예선을 할 수가 없게 되자 2022년 3월에 중립지역인 카타르에 모여서 2주만에 팀당 최대 5경기를 치르고 빨리 헤어지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다. 일정도 타이트한데다 본선 진출도 아니고 지역예선을 하러 중동까지 원정가야 하는 오세아니아 국가들의 고생만 늘었다. 결국 오세아니아 11개 국가 중 9개국이 신청서를 접수했고, 그 와중에 통가는 하필 자국에서 화산이 터져서 기권, 다시 두 나라가 자국 내 코로나 창궐을 이유로 기권하는 변수 속에서 어찌어찌 최종예선을 끝내긴 했다.

3. 역대 우승팀[편집]




||
[ 펼치기 · 접기 ]

순서우승국우승연도우승 횟수
1파일: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뉴질랜드1973, 1998, 2002, 2008, 2016★★★★★
5회
2파일:호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호주[ [[호주 축구 국가대표팀 |호주]] ]1980, 1996, 2000, 2004★★★★
4회
3파일:타히티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타히티2012
1회
[ [[호주 축구 국가대표팀 |호주]] ] 2005년 OFC에서 탈퇴, 현재는 AFC 소속.



순서년도개최국우승국준우승국3위4위
1회1973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 타히티파일:누벨칼레도니 기.svg 누벨칼레도니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뉴헤브리디스
2회1980파일:누벨칼레도니 기.svg 누벨칼레도니파일:호주 국기.svg 호주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 타히티파일:누벨칼레도니 기.svg 누벨칼레도니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3회1996공동 개최파일:호주 국기.svg 호주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 타히티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4회1998파일:호주 국기.svg 호주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파일:호주 국기.svg 호주파일:피지 국기.svg 피지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 타히티
5회2000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 타히티파일:호주 국기.svg 호주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6회2002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파일:호주 국기.svg 호주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 타히티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7회2004파일:호주 국기.svg 호주파일:호주 국기.svg 호주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8회[4]2008공동 개최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파일:누벨칼레도니 기.svg 누벨칼레도니파일:피지 국기.svg 피지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9회2012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 타히티파일:누벨칼레도니 기.svg 누벨칼레도니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10회2016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파일:누벨칼레도니 기.svg 누벨칼레도니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5]
-2020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범유행 여파로 취소됨
11회2024파일:국기.svg 국가

4. 역대 대회별 참가선수 명단[편집]


역대 대회별 참가선수 명단
1973
뉴질랜드
1980
누벨칼레도니
1996
개최국 없음
1998
호주
2000
타히티
2002
뉴질랜드
2004
호주
2008
개최국 없음
2012
솔로몬 제도
2016
파푸아뉴기니
2020
뉴질랜드
[6]
2024
?
2028
?
2032
?
2036
?


5. 우승 횟수[편집]


국가명횟수우승연도
뉴질랜드51973, 1998, 2002, 2008, 2016
호주41980, 1996, 2000, 2004
타히티12012


6. 통산 랭킹[편집]


OFC 네이션스컵 통산 승점을 기준으로 랭킹을 나타낸 표이다. 1973년 1회 대회부터 2016년 10회 대회까지의 성적을 기준으로 한다.[7] 랭킹 기준은 FIFA 월드컵 통산 랭킹과 동일하다.

- 랭킹을 보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최고순위에 관계없이 총 승점을 기준으로 한다.
  • 승리는 승점 3점, 무승부는 승점 1점, 패배는 승점 0점으로 기록한다.[8]
  • 승점이 같을 경우 평균 점수[9] > 골득실 > 다득점 순으로 우선순위에 둔다.
랭킹승점진출경기득점실점골득실평균 점수최고 성적
랭킹승점진출경기득점실점골득실평균점수최고순위
1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1001044324811039+712.27우승
2파일:호주 국기.svg 호주[10]74628242214213+1292.64우승
3파일: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기.svg 타히티59937185148081-11.59우승
4파일:누벨칼레도니 기.svg 누벨칼레도니40627124116552+131.48준우승
5파일:피지 국기.svg 피지3183294193967-280.973위
6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2693682264185-440.724위
7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2572874173170-390.89준우승
8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144143562342-191.00준우승
9파일:쿡 제도 기.svg 쿡 제도024004141-400.00조별리그
10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026006143-420.00조별리그

[1] 그렇지만 조별예선을 통과하고 월드컵 지역 최종예선에 진출해 지역 최종예선에서 1등으로 대륙간 PO까지 갔지만, 멕시코한테 패해서 탈락한다.[2] 2001년 컨페드컵 당시 한국 대표팀은 조별리그에서 호주에게 이겼으나 프랑스와의 경기에서 대차게 털린 것이 원인이 된 바람에 골득실에서 밀리며 4강 진출에 실패했다.[3] OFC이 개최한 소규모 축구 대회이다. 폴리네시아 국가들만 참가할 수 있으며, 이 대회는 OFC 네이션스컵 예선으로만 쓰였으나, 2000년을 마지막으로 멜라네시아 컵과 같이 사라졌다.[4] 2006년 호주는 AFC로 소속을 옮겨 해당 대회부터는 더는 OFC 네이션스컵에 참여하지 않는다.[5] 3, 4위전이 없어 공동 3위 처리[6] COVID-19 범 유행으로 인해 대회가 취소되었다.[7] 2020년 11회 대회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영향으로 인해 대회가 취소되었다.[8] 승부차기는 무승부에 포함된다. 1992년 대회까지는 승리 승점을 2점으로 했으나 여기에서는 이전 대회 승리 승점도 3점으로 기록한다.[9] 승점/경기횟수를 나눈 점수[10] 2006년 이후 AFC로 소속 변경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1 02:36:12에 나무위키 OFC 네이션스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